티스토리 뷰

취미

캠핑 준비물 리스트 및 주의사항

노젓는뱃사공 2023. 4. 14. 15:57

목차



    캠핑 준비물이 머가 있을까? 캠핑을 가본 적이 없는데 막상 갈려니 무엇부터 챙겨야 하는지 막막하신 분들에게 간단한 캠핑 준비물 리스트를 알려드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캠핑 준비물 리스트 썸네일 사진
    캠핑 준비물 리스트

    1. 캠핑 준비물 리스트 파일 다운로드

    아래의 파일만 보아도 캠핑 준비물이 무엇이 있는지 파악하시기 쉬우실 겁니다. 체크리스트를 인쇄하여 꼼꼼히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캠핑 준비물 체크리스트.xlsx
    0.01MB

    2. 캠핑 준비물 리스트

    주요 캠핑 준비물에 대하여 아래에 언급해드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1. 텐트

    캠핑의 기본중의 기본 아이템인 숙박을 위한 텐트가 필요합니다. 다양한 사람들이 오토캠핑, 차박 등을 하시는 분들이 많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텐트는 바람을 막아주고 추위로부터 보호해 주는 가장 필수적인 아이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가격대가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이 글을 보시는 대부분은 초보자이므로 처음부터 고가의 상품을 추천드리진 않습니다.

    2-2. 타프

    요즘 타프의 쓰임새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초보자들에게 생소할 지도 모르지만 타프는 캠핑 고수들의 필수템으로서 캠핑의 질을 높여주는데 쓰임새가 있습니다. 방수처리된 천 이라고 하여 타포린이라고 하는데 그것을 줄여서 타프라고 합니다. 비와 햇빛을 주로 막아주기 때문에 아주 좋은 아이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텐트와 마찬가지로 고가의 제품부터 저렴한 제품까지 있으니 처음은 가볍게 시작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2-3. 매트

    텐트에서 숙박을 하다보면 텐트를 뚫고 들어오는 한기를 느끼는 경우가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딱딱한 바닥에서 자면 피로가 풀릴 리 없지요. 그렇게 때문에 요즘은 자충매트라고 하여 스스로 충전한다는 의미를 가진 뚜껑만 열어주면 자동으로 공기가 들어가면서 중전되는 매트가 있습니다. 혹은 한기를 막아주는 두툼한 매트를 사용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매트의 종류도 다양하니 검색을 통한 공부도 좋은 방법입니다.

    깜깜한 밤 불빛 가득한 텐트의 모습대낮에 타프를 친 전경캠핑 도구인 자충매트가 바닥에 있는 사진
    텐트, 타프, 자충매트

    2-4. 테이블과 의자 

    음식을 하고 앉아서 먹을 수 있는 테이블과 의자는 필수 아이템입니다. 캠핑을 하면서 쭈그려앉아서 먹거나 서서 먹으면 힘이 빠지겠죠? 자신의 기호에 맞는 테이블과 의자를 선택하여 캠핑준비하시기 바랍니다.

    2-5. 아이스박스 등

    아이스박스 혹은 차량용 냉장고는 필수적인 아이템입니다. 봄, 여름, 가을, 겨울 내내 사용하여야하는 아이템으로 음식을 상한 것을 방지해 주거나 음료를 시원하게 먹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아이스박스의 경우 얼음을 채워줘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아이스박스에 비해 다소 가격이 센 차량용 냉장고보다는 초보자들이 접근하기엔 더 용이할 것으로 보입니다.

    2-6. 조리기구(버너, 코펠, 그릴 등)

    캠핑을 하러 가는 가장 큰 요소중의 하나로 꼽자면 바로 고기를 구워 먹는 것입니다. 바베큐 요리 등을 할 수 있는 필수 적인 아이템으로 그릴, 버너, 코펠 등의 화기류들이 필요합니다. 기호에 맞게 조리기구를 챙기셔서 맛있는 식사를 하시기 바랍니다. 숯을 활용한 조리기구들을 챙기시는 게 캠핑의 묘미가 아닐까 싶습니다.

    야외에 캠핑용 도구인 테이블과 의자가 설치되어 있는사진야간에 캠핑하는 모습을 담은 사진아이스박스의 사진
    테이블, 아이스박스

    2-7. 램프 등 조명기구

    요즘의 캠핑장은 대부분 조명시설이 갖춰저 있지만 없는 곳도 있으니 주위를 밝게 할 조명은 필수적인 아이템일 것입니다. 노지캠핑의 경우가 그에 해당될 것으로 보입니다. 천냥마트 같은데 가시면 가성비 좋은 조명 기구들을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2-8. 불멍 도구

    요즘 감성캠핑의 필수 코스인 불멍을 할 수 있는 도구들을 준비하시면 캠핑의 질을 높이는데 도움 되실 것 같습니다. 화로대는 사이즈별로 다양하니 검색해 보시고 최근 캠핑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오로라 가루가 있습니다. 장작불에 가루를 뿌리면 아이슬란드의 오라라처럼 불꽃의 색깔이 바뀝니다. 슬로모션으로 불을 촬영하면 매우 감성 있는 동영상을 남기실 수 있을 것입니다.

    어린아이가 조명을 들고 있는 사진화로대에서 불이 피어나고 있는 사진캠핑도구의 하나인 오로라 가루가 불을 만들어 내는 사진
    조명, 화로대, 오로라가루(불멍용)

    3. 캠핑시 주의사항 및 캠핑 팁

    캠핑은 야외활동이기 때문에 지켜야 할 주의사항들이 즐비합니다. 아래는 생각나는 캠핑 시 주의사항들이오니 우리 모두 에티켓을 지키는 캠핑인이 되셨으면 합니다. 팁도 포함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3-1. 화재에 대비하라

    캠핑의 대부분의 도구는 불을 피우고 조리하는 뜨거움이 가득한 도구들입니다. 최근 건조한 날씨로 인해 산불피해가 급속도록 늘어나고 있습니다. 야외활동을 하는 캠핑은 이러한 화재로부터 매우 취약한 활동입니다. 혹시모를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주위의 소화기능을 할 수 있는 장비가 있는지를 파악해 두시고 혹은 개인 비상 소화기 등을 챙겨가시는 센스가 필요합니다.

    3-2. 텐트 자리 선정

    한번 자리를 잡으면 쉽게 움직일 수 없는 텐트의 위치는 매우 중요합니다. 물이 불어나서 휩쓸릴 위험이 없는 곳, 산사태의 위험이 없는 곳으로 선정하시고 바람을 막아주고 햇빛이 잘 드는 지형에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말 좋은 장소는 그만큼 경쟁률이 심하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바닥이 고르고 빗물이 잘 빠지는 위치면 괜찮은 자리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3-3. 상비약 구비

    집에서와 마찬가지로 어느 정도의 상비약은 필수적으로 준비하셔야합니다. 캠핑은 보통 주거단지를 벗어나 자연과 어우러지는 곳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돌발적인 상황에 대한 대처는 필수적이고 간단한 응급처치를 할 수 있을 정도의 상비약구비는 필수라 할 수 있습니다. 문제가 있을시 가까운 병원을 가야 하니 캠핑하는 곳 주변의 병원을 체크해 두시는 것도 좋은 습관입니다.

    소화기가 줄 세워진 사진야간에 텐트가 쳐진 사진약들이 모여있는 사진
    소화기, 텐트, 상비약

    3-4. 야생동물, 벌레 주의

    우리가 알수 없는 야생동물이나 벌레, 진드기 등이 즐비한 야외활동입니다. 벌레퇴치제 혹은 몸을 보호할 수 있는 긴팔, 긴바지의 착용을 해주시고 벌레들은 밝을 불 빛을 좋아하는 것처럼 밝은 색의 옷을 좋아한다고 하니 어두움색의 옷으로 준비하시길 권장해드리니다. 텐트 주위로 뱀이 싫어하는 담배가루나 백반을 뿌려두시면 접근을 막을 수 있다고 합니다.

    3-5. 변질하는 음식물 관리

    캠핑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음식물 관리입니다. 상온에서 가장 부패하기 쉽기 때문에 여름철은 식중독의 위험도 도사리고 있습니다. 위의 준비물 리스트인 아이스박스 혹은 차량용 냉장고 등을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3.6. 다른사람에 대한 배려

    캠핑의 분위기가 시끌벅적 한 것을 지나 힐링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불멍을 한다던지, 조용히 자연의 소리를 듣는다던지 가지각색의 사람들이 모이는 캠핑장에서의 타인에 대한 배려는 매우 중요한 주의사항입니다. 특정시간이 되면 조명을 끄거나 음악의 소리를 낮추거나 밤새 뛰어노는 아이들에게 주의를 준다거나 타인에 대한 배려를 꼭 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앉은자리는 항상 뒷사람을 위하여 깨끗이 정리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3.7. 날씨예보 상시 확인

    위험이 도사리는 야외공간에서는 날씨는 생명과도 같습니다. 갑작스런 폭우나 폭설 등으로 고립되는 피해나 인명피해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야외활동을 하는 주체인 캠핑인들이 알아서 날씨 예보에 대한 대응을 하셔야합니다.

    나뭇잎 속에 뱀이 있는 사진다양한 과일과 야채들이 셋팅되어 있는 사진천둥번개가 치는 날씨 사진
    야생동물(뱀), 음식, 날씨예보

    4. 참고할만한 좋은 영상

    '취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툰 추천, 주인공 최강 모음 정리 BEST 15  (0) 2022.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