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달러/원 환율은 유로화 및 위안화 약세에 동조하며 1,360원대 초중반에서 출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과 지정학적 리스크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며, 상방 압력이 여전히 존재하지만, 장기금리 하락이 추가 상승을 제약할 수 있습니다.
1. 달러/원 환율 최근 동향과 원인 분석
전일 달러/원 환율은 유로화 및 위안화 약세에 동조하며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중국의 부양책에 대한 실망감과 글로벌 강 달러 흐름이 이어지면서 장 초반부터 상승세를 기록, 1,363원까지 고점을 높였습니다. 이외에도 북한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가중되며 1,360원대 초반에서 등락이 있었습니다. 최종적으로 전일 종가 대비 5.4원 상승한 1,361.3원에 마감했습니다. 야간 장에서도 유로화와 위안화의 약세에 영향을 받아 1,366.3원에 마감하며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2. 글로벌 경제 및 지정학적 리스크의 영향
최근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및 지정학적 리스크는 환율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북한의 군사행동 및 중국의 부양책에 대한 실망감은 환율 상승을 부추겼습니다. 여기에 중동의 불안정한 상황도 더해져 시장 전반의 위험 선호 심리가 약화되었고, 달러가 주요 통화에 비해 강세를 유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런 대외적인 요인들은 달러/원 환율이 하락할 여지를 줄이고, 상방 변동성을 키우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3. 미 경제지표와 환율 전망
미국 경제지표도 환율 상승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발표된 미국의 경제지표들이 예상보다 부진하게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달러는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연준이 11월 금리 동결 가능성이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달러 수요가 지속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앞으로 17일 발표될 미국 9월 소매판매 지표가 중요한 이벤트로 꼽히고 있으며, 예상치를 상회할 경우 환율은 더욱 상승할 가능성이 큽니다.
4. 유로화 및 위안화 약세가 미치는 영향
유로화와 위안화의 약세도 달러/원 환율 상승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유로화는 1.09달러 아래로 떨어졌고, 위안화 역시 약세를 보이며 달러 강세를 더욱 촉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유럽과 중국 통화의 약세는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을 더욱 부각시키며 달러의 상대적인 가치를 높이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달러/원 환율도 자연스럽게 상승 압력을 받고 있으며, 유로 및 위안화의 약세가 지속된다면, 당분간 환율 하락 요인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5. 향후 주요 이벤트와 환율 전망
앞으로의 환율 전망은 여러 이벤트에 달려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이벤트 중 하나는 17일 발표될 미국 9월 소매판매 지표입니다. 이 지표가 예상치를 상회하면 달러의 강세가 더욱 강화될 수 있으며, 달러/원 환율은 1,360원대를 넘어설 가능성이 있습니다. 반면, 지표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 환율이 하락할 여지도 존재합니다. 또한 ECB의 통화정책회의도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유럽 중앙은행이 12월 추가 금리 인하를 시사할 경우 유로화 약세가 더욱 심화되어 달러/원 환율을 끌어올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 소매판매 서프라이즈, 달러 강세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0) | 2024.10.24 |
---|---|
1,360원대에서의 달러/원 환율 움직임, 상승과 하락 요인은? (0) | 2024.10.23 |
노란공제우산 희망장려금 신청 및 가입자 혜택 (0) | 2024.06.29 |
2023년 3월 경제지표 캘린더 (1) | 2023.03.29 |
소상공인 새출발기금 간략정리 (0) | 2022.09.23 |